상표

스마트스토어 셀프 상표 출원하기 - 상품류 및 지정상품 정하는 방법

찐프피_IP 2023. 5. 11. 21:16

셀프 상표 출원하기 - 상품류 및 지정상품 정하는 방법


창업 시 사업자 등록과 함께 고려할 것이 바로 상표 출원입니다.


보통은 특허 사무소를 통해서 출원하지만, 대리인 비용이 만만치 않아서 그런지 요즘은 셀프 출원하는 방법에 대한 유튜브나 블로그 글을 자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상표-출원

 

 

1. 상표 출원 비용

대리인 비용은 정해진 것이 없어서 천차만별입니다.

제가 기업체에서 상표 출원할 때 건 당 20만원 정도였어요. 기업체는 단가를 따로 정하는 편이라 개인과는 케이스가 다르긴 합니다.

개인 출원은 대리인(변리사)와 상담해봐야겠지만 수십만원 수준입니다.

 
그러나, 셀프 출원하면 단돈 56,000원(특허청 관납료)이면 가능합니다. 


2. 셀프 출원할 수 있을까?

특허는 기술적으로 난이도가 높아 셀프 출원은 불가능에 가깝지만, 상표 출원은 기술적으로 어렵지 않아서 충분히 가능합니다.
 
단, 기존에 유사한 상표가 없다는 전제 하에 추천드립니다. 만약 있다면 등록 가능성이 낮으므로, 명칭을 변경하거나 대리인을 통해 출원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상표를 출원하게 되면, 특허청에서 기존에 유사한 상표가 있는지 심사하는데요. 이 때 유사한 상표가 나온다면 등록이 안된다며 '의견제출통지서'라는게 나와요.

그러면, 내 상표는 그 상표와 유사하지 않다고 주장하는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건 일반인이 하기 어려운 영역이에요.

 
상표 출원은 "특허로"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출원방법은 나중에 포스팅하기로 하고 오늘은 상표 검색 방법, 상품 류와 지정상품 선정방법에 대해 말해볼게요.

특허로

출원부터 등록 까지 편리하게

www.patent.go.kr

 

3. 상표 검색 방법

내가 출원하려는 상표와 유사한 상표가 있는지 알아보려면, "키프리스"라는 사이트를 이용하면 되는데요.

특허, 상표, 디자인, 심판 등 지식재산권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상세내용 아래 참조)

사용방법은 어렵지 않으니, 상표 출원 전에는 반드시 유사 상표를 찾아보고 진행할 것을 추천드립니다.
 

특허 검색 DB의 특징(1) - 키프리스 (KIPRIS)

특허 검색 DB의 특징 특허 검색 DB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장 잘 알려진 '키프리스', '윕스'부터 최근 출시된 AI 검색엔진인 '키워트'까지... 각 DB에 대한 사용 후기와 장/단점을 남기려고 한다.

some-ip-search.tistory.com

 

4. 상품분류

상표에는 '상품분류'라는게 있는데요.

상품분류는 상표권을 신청하고 등록할 때 지정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범주입니다.

 
쉽게 말하면, 비슷한 상품/서비스를 분류해서 숫자로 표시한 체계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의약품은 05류, 커피나 차는 30류, 도소매업은 35류입니다.

스마트스토어에서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상표분류상 제35류에 해당됩니다.

제35류는 제품에 대한 도매업과 소매업, 판매대행업 등을 포함하고 있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표로서 등록을 하셔야 합니다.

단, 여기서 제35류는 서비스에 해당하므로 도소매업뿐만 아니라 판매하려는 상품 전체를 지정하여 출원을 진행하셔야 합니다.
 
만약 의류를 판매하고 있다면 35류의 의류 소매업/도매업뿐만 아니라 상품에 25류 ‘의류’도 함께 등록을 받아야 권리를 제대로 지킬 수 있습니다. 
 

5. 상품분류 조회

그럼, 내가 판매하려는 상품이 어느 류에 해당할까? 그건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스토어가 아닌 다른 상표를 출원하실 경우에도 확인 가능)

키프리스-상표-검색
[출처: 키프리스]

 

6. 지정상품

상표 출원할 때 또 선택해야 할 것이 지정상품인데요. 지정상품은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의 세부적인 분류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의류와 같은 상품류에서는 옷, 신발, 모자 등의 지정상품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표권을 신청할 때는 지정상품을 상세하게 기재해야 하며, 이는 상표권이 보호하는 범위를 한정짓는 역할을 합니다.
 
지정상품은 한 분류당 보통 20개 지정합니다.
(그 이상도 가능하나 금액이 추가됨)


스마트스토어에 대해 35류로 출원할 경우,  해당되는 지정상품은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해당하는 것을 일부 선택하셔도 되고, 아니면 그냥 20개 다 넣어도 됩니다. (20개까지는 기본 요금이라 갯수 상관 없어요)
 
[35류 지정상품]

키프리스-상표-검색키프리스-상표-검색
[출처: 키프리스]


그 외 다른 류에 출원하실 경우 지정상품을 확인하는 좋은 방법은, 경쟁사의 상표를 참고하는 겁니다. 
 
대리인을 통해 출원한 경우 상품류와 지정상품에 대해 충분히 검토하고 출원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들의 상표를 보고 따라하면 실패 확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대리인을 통한 출원여부는 상표를 검색했을 때 "대리인"이 있는지 보시면 됩니다.  (아래 참조)
 

키프리스-상표-검색
[출처: 키프리스]

 
 
어려운 내용이지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상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스토어 셀프 상표 출원하기 - 상표 검색 방법  (0) 2023.05.11